[영화 안내] 2024년6월20일 미나마타 만다라 서울상영

공지사항
홈 > 커뮤니티 > 공지사항
공지사항

[영화 안내] 2024년6월20일 미나마타 만다라 서울상영

관리자 0 199

2020년 부산영화제와 2021년 환경영화제에서 상영했다는데 모르고 지나갔고, 

2023년 겨울 제주의 한 사찰 '남선사'에서 상영할 때 1박2일 일정으로 찾아가 봤습니다. 

핑계김에 눈덮힌 제주도를 가보고 싶은 마음도 있었지만, 6시간 짜리 영화인데다, 2019년 1월에 일본 미나마타에 가서 처음 만났었고 그해 10월 서울에서 열린 아시아직업환경피해자권리네트워크(ANROEV)서울대회에서 그녀를 초청했었던 기억때문입니다.

1956년생으로 올해 68세인 태아성 미나마타병 환자 사카모토 시노부가 그녀입니다.  

이 영화 포스터를 처음 보았을때 '앗 그녀다' 바로 알아보았습니다. 

근데 제주의 한 작은 절에서 상영한다네요~ 


서귀포 바다가 내려다 보이는 제주의 중산간에 위치한 절 앞마당의 작은 공간에 만들어진 영화상영관은 작지만 여러겹으로 빛을 차단했고 음향도 훌륭했습니다. 

3부작으로 나뉜 영화라 두번의 쉬는 시간이 주어집니다. 

잠시 밖으로 나왔더니 눈이 내리고 있었습니다. 

영화상영회를 주관한 절의 스님이 따뜻한 차를 내주었습니다.


영화가 끝난후에 이 영화를 서울에서도 상영했으면 좋겠다고 했더니, 영화제작소의 이메일을 알려주었습니다. 

서울 상영을 희망했더니 2024년 6월20일 서울에서 감독도 참여하는 프로그램이 있다는 회신이 왔습니다. 그러면 자세한 내용을 알려달라 했는데 그 답신을 여태 받지 못했습니다. 오늘 문득 인터넷을 뒤졌더니 아래의 포스터가 나왔습니다. 


1956년 5월1일은 최초의 미나마타병이 신고된 날입니다.

1972년 스웨덴의 스톨홀롬에서 열린 유엔환경회의장에 미나마타병의 친구 하라다 마사즈미 박사와 함께 이 영화의 주인공 '사카모토 시노부'도 참여했다고 합니다. 하라다 박사는 태아성 미나마타병을 밝혀낸 신경과의사로 한국의 온산병문제도 수은관련성이 있다고 문제를 제기하며 여러차례 한국을 방문했습니다. 수은에 오염된 어패류를 섭취한 엄마로부터 메틸수은이 탯줄을 타고 뱃속의 아기에게 전달되어 뇌가 망가진 채 태어난 경우를 말하는 태아성 미나마타병... 


갓난 아이가 오염된 어패류를 먹은 적이 없는데도 신경이 마비되어 뇌성마비와 같은 미나마타병 증세를 보였지만 일본 정부를 이를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하라다 박사가 유사 증세를 보이는 집들을 방문조사하면서 집에 보관하는 탯줄을 조금씩 모아서 분석해보니 엄청난 량의 수은이 탯줄에서 검출되어 엄마로부터 태아로 수은오염이 전이되는 사실을 밝혔고, 이후 쥐실험을 통해서 추가 확인된 '태아성 미나마타병'... 가습기살균제에 노출된 엄마들에게서 나타난 다수의 유산, 사산 사례도 비슷한 경우입니다.  


세계적인 환경대참사로, 

1950년대의 일본 미나마타병, 1984년 인도 보팔참사, 1986년 구소련 우크라이나의 체르노빌 핵참사를 꼽습니다. 

시간이 흘러서 두개가 추가되는데, 

2011년 일본 후쿠시마 핵참사와 그해 8월31일 세상에 처음 알려진 한국 가습기살균제 참사입니다. 

1960년에 알려진 독일 탈리도마이드 약화사건도 수많은 소비자가 희생된 사회적참사라는 의미에서 비교되곤 합니다.  


2024년은, 

1956년 처음신고된 일본 미나마타병 68주년이고, 

12월3일은 보팔참사 40주기이며, 

1994년 SK(당시 유공)에 의해 첫 가습기살균제가 판매되기 시작한지 30년째 되는 해입니다. 

탈리도마이드, 체르노빌, 후쿠시마 등 모든 참사가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여전히 진행중입니다. 

너무 큰 참사여서인지 사망자가 피해자가 몇명인지도 제대로 파악되지 않은채... 


너무나 늦었지만 이제라도 이들 환경참사 피해생존자와 유족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려보려 합니다. 


아래 포스터의 내용에 "폭발하듯 분출되는 폭력이 아닌 겹겹히 쌓인 폭력의 지층" 이란 표현이 나옵니다. 

2016년 가습기살균제 참사가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었을때 세월호참사 등과 비교하면서 "느린참사 slow disaster"라는 용어로 설명되었습니다. "안방의 세월호"라는 표현도 있었구요.      


사카모토 시노부 상, 

6월20일 목요일 오후1시 그녀를 만나러 신촌 이화여대 아트하우스에 갑니다.


P.S. 

아오, 이 영화 인기네요. 매진이래요~   

150석 좌석 매진이고 50여명 대기라네요~ 

환경보건시민센터에서 회원상영해보려고 합니다. 기회가 만들어지면 공지할게요~   


c8df644e6075153db26037bfc4f6752b_1718598047_6519.jpg 


미나마타 만다라

Minamata Mandala, 水俣曼荼羅, 2020
장르
다큐멘터리
국가
일본
러닝타임
372분
 

영화 [미나마타 만다라] 소개와 환경보건시민센터의 미나마타병 관련 활동자료 모음


A        영화소개

a        Minamata Mandala, 水俣曼,2020년 개봉러닝타임372감독 하라 카즈오 

l  만다라 뜻두산백과

l  신성한 단(:성역) 부처 보살을 배치한 그림으로 우주 진리를 표현한 것이다원래는 ‘본질(mandala)을 소유(la)한 것’이라는 의미였으나, 밀교에서는 깨달음의 경지를 도형화한 것을 일컬었다그래서 윤원구족()으로 번역한다윤원구족이란낱낱의 살[]이 속바퀴측[]에 모여 둥근 수레바퀴[]를 이루듯이모든 법을 원만히 다 갖추어 모자람이 없다는 뜻으로 쓰인다

b        포스터 http://eco-health.org/bbs/board.php?bo_table=sub09_03&wr_id=422

c        포스터 주인공태아성 미나마타병 환자사카모토 시노부. 1956년생 

d        하라 카즈오 감독의 석면관련 작품 

l  [센난 석면피해 배상소송], 2017. 러닝타임 215분 

l  재일한국인 석면피해 내용 포함 

l  관련자료 링크 http://eco-health.org/bbs/board.php?bo_table=sub02_02&wr_id=731

B        20231206 제주의소리 기사 (20231216일 제주 연경문화예술회관 상영회 소개)

http://eco-health.org/bbs/board.php?bo_table=sub08_01&wr_id=155

C        20200924 가습기살균제 참사와 미나마타 유엔협약

http://eco-health.org/bbs/board.php?bo_table=sub02_03&wr_id=1025

D       20191013 경향신문 사카모토 시노부 인터뷰 기사 

http://eco-health.org/bbs/board.php?bo_table=sub02_03&wr_id=960&page=52

E        20192월 미나마타병 국제세미나 및 현지방문 사진

a        2019년 228일 일본 미나마타 사카모토 시노부 방문 사진 

http://eco-health.org/bbs/board.php?bo_table=sub09_04&wr_id=109&sca=2019&page=2

b        2019년 223일 일본 미나마타 피해지역 방문 사진 

http://eco-health.org/bbs/board.php?bo_table=sub09_04&wr_id=108&sca=2019&page=

c        222일 구마모토학원대학 국제세미나 사진 

 http://eco-health.org/bbs/board.php?bo_table=sub09_04&wr_id=107&sca=2019&page=

F        20170417 엄마숨이안쉬어져32: 미나마타병 사례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 

     http://eco-health.org/bbs/board.php?bo_table=sub02_03&wr_id=744&sfl=wr_subject%7C%7Cwr_content&stx=미나마타 

G     [논문] 가습기살균제참사와 미나마타병 사건의 비교 고찰 (2019) 

     http://eco-health.org/bbs/board.php?bo_table=sub03_02&wr_id=1333


c8df644e6075153db26037bfc4f6752b_1718598340_5638.jpeg
 
c8df644e6075153db26037bfc4f6752b_1718598512_2153.jpg
 
0 Comments
시민환경보건센터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