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2월11일] 가습기살균제 참사 국회토론회
# 사회적 참사 가습기살균제 피해 해결을 위한 국회토론회 계획(안)
가습기살균제 사건이 발생한지 14년째. 사망자는 해마다 늘어 1,900여명. 신고된 피해자만
8,000여명에 이르는 가장 규모의 피해를 보인 사회적인 참사임에도 아직도 가습기살균제 피해
는 해결되지도 않은채 점차 잊혀져 가고 있습니다.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는 단지 호흡기 질환 피해뿐만 아니라 암, 심혈관질환, 주의력결핍 과잉
행동장애(ADHD) 등 각종 휴우증으로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 연구가 진행될수록 암등 여러 만
성질환과의 연관성이 과학적으로 규명되고 있는데, 가해 기업은 멀쩡히 있는데 정작 피해자들
은 가족이 깨지고, 여러 질환으로 몸은 만성창이가 된 상태입니다.
여러 사회적 참사가 새정부 들어 이제 상처를 보듬고 치유가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가습기살균 제 피해도 이제 해결을 해야 할 때가 된 듯합니다.
대한역학회, 대한예방의학회, 대한직업환경의학회, 환경독성보건학회, 한국환경보건학회, 한국 환경법학회, 한국환경사회학회 등 환경관련 7개 학회에서 가습기살균제 참사를 해결하기위한 공론의 자리를 만들었습니다. 오셔서 가습기살균제 피해 해결을 위해 힘이 되어 주십시오.
- 주관: 7개 환경전문학회 (환경독성보건학회, 한국환경보건학회, 대한직업환경의학회, 대한역 학회, 대한예방의학회, 한국환경법학회, 한국환경사회학회)
- 제목: 가습기살균제 아직도 끊나지 않은 피해.
- 일시: 2025년 12월 11일 오전 10-12시
- 장소: 국회의원회관 제 9 간담회실
-주최:7개전문학회,서왕진의원실 이수진의원실공동주최
축사
- 우원식 국회의장 (예정)
- 안호영 환노위위원장(예정)
- 박주민 보건복지위원장(예정)
- 서왕진 의원 (환노위)
- 이수진 의원 (보건복지위)
죄장: 임종한(인하대교수, 전 환경독성학회회장)
기조발표:
“가습기살균제 아직도 끊나지 않은 피해” 성균관대 정해관교수 (예방의학)
- 토론
- 피해 보상 관련 법률적 쟁점 (박태현 교수)
- 역학(정경숙교수), 노출(이종현박사)
- CMIT-MIT 단독 사용자의 호소 (손수연, 하명순)
- 화학물질의 특성(권정환교수)
- 7개 전문 학회의 공동입장문 발표: 7개 학회 대표자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