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뉴스] '바다의 날' 맞아 부산에서 바다살리기 운동

환경보건시민센터 활동 언론보도
홈 > 정보마당 > 환경보건시민센터 활동 언론보도
환경보건시민센터 활동 언론보도

[오마이뉴스] '바다의 날' 맞아 부산에서 바다살리기 운동

관리자 0 205
1994년 유엔해양법협약이 발효됐으며 통일신라시대 장보고가 청해진을 설치한 날을 기념해 제정된 제29회 '바다의날'을 맞아 31일 곳곳에서 다양한 행사가 벌어졌다.

환경단체는 해양 생태계를 위협하는 후쿠시마 핵오염수 해양투기 반대와 고래 보호를 위한 해상행동을 벌였고, 해양경찰서와 교육청 공무원들은 해양 쓰레기 수거 활동을 벌였으며 수산종자 방류도 있었다.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 핵오염수 투기 반대 등 외쳐
  
큰사진보기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 핵오염수 투기 반대 등 외쳐
▲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 핵오염수 투기 반대 등 외쳐
ⓒ 환경운동연합

관련사진보기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 핵오염수 투기 반대 등 외쳐
▲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 핵오염수 투기 반대 등 외쳐
ⓒ 환경운동연합

관련사진보기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 마산창원진해-통영거제-부산-서울-인천-포항-울산-여수환-진주환경운동연합은 이날 부산에서 해상행동을 벌였다. 활동가들은 바다 속에 들어가 핵오염수 해양투기에 반대하고, 고래 보호를 호소했다.


10개월째 진행 중인 일본의 후쿠시마 핵폐수 해양투기에 대해 이들은 "이대로 놔두면 수 십년 이상 계속되어 핵발전소를 운용하는 다른 여러 나라들도 따라서 할 우려가 크다"라고 했다.


이어 "무엇보다, 조만간 수산물의 방사능 오염문제가 심각하게 불거질 가능성이 있다. 이는 핵발전소가 얼마나 위험하고 사고 시 인류의 존재를 위협하는 감당하지 못할 기술인지 분명하게 알려준다"라고 덧붙였다.

이들은 "돌이킬 수 없는 해양생태계 방사능오염 사태를 맞기 전에 일본의 해양투기 행위를 저지해야 한다. 다행히 태평양 섬나라들과 중국과 러시아를 비롯한 여러 국가들이 적극 반대 의사를 지속적으로 표시하고 있고 국제시민사회도 지속적인 반대운동을 펼치고 있다"라고 했다.

이들은 오는 6월 8일, 유엔이 정한 세계해양의날(World Oceans Day)에 동·서·남해 곳곳의 바다에서 일본 후쿠시마 핵폐수 해양투기 중단을 요구하는 해양행동을 벌이기로 했다. 또 이들은 8월 24일 후쿠시마 해양투기가 시작된 지 1년 되는 날 세계의 5대양 곳곳에서 국제캠페인을 전개한다.

바다 생태계의 상징인 고래 보호에 대해, 이들은 "11년이 지난 지금도 전국 5곳에서 20마리의 고래류가 콘크리트 수족관에 갇혀 있다. 그동안 수족관에서 폐사한 고래들도 수 십마리에 이른다"라고 했다.

이들은 "시멘트 콘크리트로 만든 수족관에 갇혀서 강제로 공연에 동원되거나 사람들의 눈요기감으로 연명하고 있다. 최근 몇 개월 사이에 두 마리나 폐사하는 등 지속적으로 죽어가고 있다"라고 했다.

환경단체는 "처참한 사육장의 개와 고양이를 구출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수족관의 돌고래들도 구출되어야 한다. 드넓은 바다에서 자유롭게 헤엄치는 고래들을 안전하게 멀리서 지켜보는 고래생태관광(Ecological Whale Watching)을 하는 시대를 만들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0 Comments
시민환경보건센터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