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345 호, 2020 년-10 호, 7 월 20 일 서울지하철2호선 시청역 석면조사결과
1 조사배경
2 서울지하철 2 호선 시청역 석면철거 현황
3 시료채취 및 분석결과
4 문제점과 개선대책
5 관련 사진 및 동영상
▶ 내용문의:
o 스즈키 아키라, 한국석면추방네트워크 집행위원장 010-6343-1607
o 이성진, 환경보건시민센터 정책실장 010-4719-7181
1 조사배경
1) 환경성 석면오염에 노출되어 석면질환(악성중피종암, 석면폐암, 석면폐증, 미만성흉막비후 등 4 개 질병)에 걸린 석면피해자들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2011 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석면피해구제법에 의해 2020 년 6 월까지 9 년 6 개월동안 인정된 석면피해자가 4,137 명이다. 매년 400 여명의 환경성 석면질환 구제인정자가 생기는 것이다. 이중 석면폐증이 2,436 명으로 가장 많고, 악성중피종암이 1,074 명, 석면폐암 623 명, 미만성흉막비후 4 명이다. 석면질환은 치료가 안되고 생존기간이 짧다. 구제인정자 10 명중 4 명가량인 36% 1,492 명이 사망했다.
2) 슬레이트석면, 학교석면, 재건축석면, 석면광산지역, 자연석면 등 여러가지 사회적 석면문제 중에서 지하공간에서 다중이 이용하는 지하철에서의 석면문제는 가장 중요하다. 2019 년 한해동안에만 서울지하철 1~9 호선을 이용한 승차인원은 18 억명에 이른다. 이중 2 호선은 5.6 억명으로 가장 많았다. 2020 년 상반기 6 개월동안의 1~9 호선 승차인원은 6.7 억명에 이른다. 지하공간의 특성때문에 소량의 석면이라도 비산되면 좁은 지하 환경에서 외부 환경으로 잘 배출되지 않아 다수의 이용승객이 노출될 수 있고, 열차풍으로 인해 인근 역사로 오염이 확산되고 역사 주변을 오염시킬 수 있다.
3) 지하철은 시민의 발이라고 일컬어질 정도로 가장 중요한 교통수단이다. 화재는 물론이고 소음과 진동 등의 이유로 승객들이 이용하는 승강장 및 지하 1,2 층의 천장과 벽체, 사무실 천장재, 보일러실의 가스켓 등의 부위에 석면자재가 많이 사용되었다. 특히, 천장과 벽체에 내화재, 흡음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 석면뿜칠재(분무재)는 가장 흔히 사용되는 사문석(serpentine) 계통의 백석면(chrysotile)과 함께 트레모라이트 석면(tremolite asbestos)과 같은 발암위험성이 큰 각섬석(amphibole) 계통의 석면이 함께 고농도로 사용되고 잘 부서져 공기중으로 날리기 쉬운(비산) 특징때문에 가장 안전성이 취약한 석면자재다. 일본에서는 많은 건축물에 석면뿜칠재가 사용되었지만 한국에서는 세종대로의 옛 삼성본관, 광화문의 정부세종청사, 삼일빌딩, 여의도의 대형건물 등 일부 빌딩에서만 사용되었고 주로 지하철 역사 내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4) 2005 년경 한국사회에서 석면문제가 환경문제로서 본격 제기되어온 이래 환경보건시민센터와 한국석면추방네트워크는 지하철에서의 석면문제에 대해 꾸준히 지적하고 개선을 요구해왔다. 아래와 같이 정식으로 조사보고서가 작성된 것만 7 개이고 그외 십여차례 넘는 관련 성명서가 발표된 바 있다. ① 2008 년 1 월 11 일, 서울지하철 석면문제 역학조사결과 및 피해자찾기 캠페인 4 ② 2008 년 2 월 14 일, 서울지하철 석면문제 문제점 정리 ③ 2008 년 12 월 2 일, 서울지하철 2 호선 선릉역 석면문제 ④ 2009 년 2 월 3 일, 서울지하철 2,4 호선 승강장 석면문제 ⑤ 2009 년 11 월 22 일, 서울지하철 경복궁역, 문래역, 방배역 석면문제 ⑥ 2010 년 8 월 10 일, 서울지하철 2 호선 석면문제 ⑦ 2012 년 4 월 26 일, 서울지하철 구로역 석면문제
5) 이러한 배경하에서 지하철에서의 석면제거가 안전하게 이루어지길 지속적으로 요구해왔지만, 지하철 역사를 관리해온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과거 서울메트로 등)는 매우 미온적이고 그때그때 땜방식으로 지적을 외면해왔다. 2008~2010 년경에 서울메트로에 석면안전을 전담하는 부서가 존재했지만 언론과 환경단체의 감시가 소홀해지자 슬그머니 전담부서가 사라져버렸다. 또 전문가와 환경단체가 참여해온 전문가위원회 역시 기능을 멈춰버렸다.
6) 우리는 최근 서울지하철 2 호선 시청역에서 대규모 석면철거가 진행된다는 정보를 접하고 정보공개청구로 확보된 관련 자료를 구했고, 얼마나 안전하게 석면철거가 진행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현장 조사에 나섰다.
2 서울지하철 2 호선 시청역 석면철거 현황
1) 발주처; 서울교통공사
2) 공사기간; 2019 년 5 월 24 일~2021 년 7 월 26 일 (내진보강 등에 따른 시설개량공사)
3) 석면해체제거업체; 성진시앤디(주)
4) 철거대상 건축자재, 석면종류, 농도와 량
① 합계; 6004.31 m2 ,
② 석면농도와 종류; 백석면 5~45%, 트레모라이트석면 30%
③ 철거대상 종류별;
A 석면함유 뿜칠재(분무재): 전체의 89%,
a 위치 및 량; 지하 1,2,3 층 천장과 벽체 5366.71m2 ,
b 석면농도; 33% (3% 농도 백석면과 30% 농도 트레모라이트 석면),
B 천장텍스; 전체의 10.4%
a 위치 및 량; 지하 1,2,3 층 상가, 사무실, 매표소, 통신기계실 등 624.02 m2 ,
b 석면농도; 5% 백석면
C 가스켓; 전체의 0.18%
a 위치 및 량; 지하 1,2,3 층 환기실, 물탱크실 등의 배관 10.86 m2 ,
b 석면농도; 40% 백석면,
D 석면포; 전체의 0.045%
a 위치 및 량; 지하 2 층 환기실 덕트 연결부위 2.72 m2 ,
b 석면농도; 45% 백석면
1) 시료채취 및 분석
① 시료채취 일시; 2020 년 7 월 6 일 오후 1 시~3 시 지하철 운행중 낮시간
② 시료채취 지점; 2 호선 시청역사 지하 1 층 에서 8 개 시료, 지하 2 층에서 8 개 시료, 지하 3 층 7 개 시료 등 모두 23 개의 먼지 및 고형(조각)시료 채취
③ 시료분석; 전자현미경(FE-SEM) 분석기관(ISAA 환경컨설팅)에 의뢰
④ 분석방법; PLM 편광현미경 분석방법과, FE-SEM 주사형 전자현미경 및 EDS 성분분석기를 통한 성분분석, KS L 5300:2900 [고형시료의 석면분석 방법]에 의거 종합판단.
2) 시료분석 결과
① 지하 3 층 승강장 을지로방향 10-3 번 위치 중앙기둥위에서 채취한 고형(조각, 23 번) 시료에서 트레모라이트 석면(tremolite) 5%가 검출되었다.
② 시청역 석면지도상에는 23 번 시료가 있던 위치의 승강장 천장에 33%의 뿜칠석면(3% 백석면과 30% 트레모라이트 석면)이 있는 곳이다. 따라서 5%의 트레모라이트 석면이 검출된 것은 23 번 고형시료는 뿜칠석면이 붙어 있던 천장이나 기둥의 시멘트 조각으로 추측된다.
③ 트레모라이트석면은 각섬석계열의 5 개 석면종류의 하나로 구불구불한 머리카락
모양의 사문석인 백석면과 달리 바늘처럼 뾰쪽해서 뿜칠용으로 사용되었는데
이런 구조적 특성때문에 사람에게 노출되면 석면질환을 더 잘 발생시킨다.
이때문에 2003 년부터 사용이 금지되었다. 참고로 백석면은 2009 년부터 사용이
전면 금지되었다.
<사진, 2 호선 시청역 지하 1,2,3 층에서 채취한 먼지 및 조각 고형시료 23 개를 모아놓은
모습>
<사진, 2 호선 시청역 지하 3 층 승강장에서 채취한 23 번 시료사진, 전자현미경으로 분석한
결과 트레모라이트석면 5%가 검출되었다. 채취한 시료가 소량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무수히 많은 나노(nano)단위의 석면섬유(fiber)로 이루어져 있어 부서지거나 쪼개지면 눈에
보이지 않는 석면섬유가 대기중으로 날아다니면서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 흡입된다.>
<사진, 트레모라이트 5%가 검출된 시료 23 의 전자현미경 사진, 바늘처럼 끝이 뾰쪽하다.
무수히 많은 석면섬유로 갈라진다.>
<사진, 2 호선 시청역 지하 3 층 승강장에서 채취한 고형시료에서 5%농도의 트레모라이트석면이 검출된 전자현미경 사진과 함량정보>
<사진, 2 호선 시청역 지하 1 층에서 지하 2 층의 개찰구로 내려가는 계단에서>
<사진, 2 호선 시청역 지하 2 층의 모습, 내진보강목적의 공사를 한다는 안내만 있을뿐
석면철거공사에 대한 내용은 없다>
<사진, 2 호선 시청역 지하 2 층 모습, 천장의 석면제거 및 각종 시설물 공사를 위한
지지대가 빼곡하다>
<사진, 2 호선 시청역 지하 3 층 승강장 모습, 천장과 벽체의 뿜칠석면을 철거하고 비닐보양
등을 비산방지시설을 제거한 후 각종 시설물을 새로 설치중이다>
2) 2 호선 시청역 석면조사 시료채취 모습; 2020 년 7 월 6 일
<사진, 2 호선 시청역 지하 1 층에서의 시료 채취>
<사진, 2 호선 시청역 지하 2 층에서의 시료 채취>